티스토리 뷰
https://gray-hat.tistory.com/96
이거에 이어서 쓴다.
기술면접후기를 쓰는 이유는
내가 3, 5년차가 아닌데 이런 방식의 기술면접이라는게 생소했기 때문이다.
내 이력을 기반으로 한 경험을 전달하고 이런거를 할 수 있는지 해결할 수 있는지 보는 면접이 아닌
'이걸 아세요? 설명해보세요. 알고리즘을 짜보세요' 의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내가 다른 회사의 면접관이 될텐데 그때 이번 이직 경험으로
년차에 따라 채용 질문이 다를 필요가 있다는것도 깨달았다.
-- java 질문 jvm 메모리 구조 jvm gc 알고리즘 Map 종류와 특징 StringBuilder, StringBuffer, String 차이점 try, catch, finally에서 finally 안타는 경우
-- spring 질문 3대 특징 aop 구성 singleton 장단점 filter, interceptor 차이 객체지향5대원칙
-- DB/transaction index 락 종류 동시성 해결방법 트랜젝션 종류 nosql, rdb 차이점 jpa 경험
-- web http1, 2. 차이 resttemplate이란? vue.js / jquery 차이 세션 쿠키 차이
-- 공통 자기소개 좋아하는 패턴과 설명, 그 이유 최근 관심 기술 기술이나 시스템이나 본인이 개선하고 해결한 경험 공유
-- 실전 코딩테스트 - 피보나치수열 등등, ArrayList를 코딩해보라. 고객이 상품 주문하는것 까지의 테이블 설계 - 화이트 보드, 고객이 택시잡고 배차되는 프로세스 그리기
대답 못한것이 꽤 많았다.
개념을 뭉뚱스럽게 알지만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것, 차이점은 모른채 쓰던것, 머리속이 백지가 되던것 등등
창피한것도 있었고 아냐 모르냐의 질문이 연속일때는 좀 짜증도 났다.
대학때 이후로 피보나치수열을 오랜만에 듣고 짜보는건 좀 웃겼다.
좀 신선했던건 최근에 읽은 책에 대해서 간략설명과 느낀점을 얘기해보는거였는데
이해력, 설명, 표현력을 보는거 같아서 좋았다.
개발팀장의 개발철학과 팀개발리딩 원칙을 설명해주는 곳도 좋았다.
서로 맞을 수 있는건지 파악이 필요한거니까라는 설명과 함께 해줘서.
그리고 좀 규모가 있는 회사의 기술면접에서는
10년차 이상의 개발자에게 많은 트래픽을 핸들링해본 경험을 원한다는게 느껴졌다.
즉, 10년차 이전에 큰 시스템을 경험해보지 않았다면 이후에 이직할때 더 큰 파이로 가는게 어려울수있겠다는 느낌.
내가 움직일 수 있는 풀pool을 다시 확인하는 경험들이었다.
많은 지인이 있고, 커뮤니티에 활동을 하시는 분들과는 다른 이직경험기 일 수 있을것이다.
좀 두서없이 적는 느낌이 있는데 날것으로 남겨두겠다.
'개발새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직장, 새 업무 (0) | 2021.09.14 |
---|---|
카프카 EC2에 securityGroup 설정 (0) | 2021.08.30 |
1n년차 개발자 이직기 (0) | 2021.08.14 |
[Kafka] 토픽목록 조회 2가지 방법 (0) | 2021.08.01 |
[kafka] 카프카 시작 안되는 경우 (0) | 2021.08.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터디
- 이직
- Kotlin
- 후기
- mariadb
- 개발자
- morningbrew
- 개발언어
- auth
- 마리아DB
- 개발
- es6
- Java
- Amplify
- JavaScript
- 프로그래밍
- 공부
- 주식초보
- 주식
- 카프카
- 자바스크립트
- 자바
- openjdk
- 경제뉴스
- 코틀린
- KAFKA
- Node.js
- vue.js
- 번역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