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에 포스팅에서 내부망 외부망 분리에 대해 적은 적이 있다.
https://blog.low-battery.xyz/31
내부망, 외부망 분리의 기억
전에 공부할때 배스천 호스트 개념만 살짝 듣고 말았는데, 이번에 경험하게 되었다. 내부망 외부망을 분리시키는 환경에서 개발한 적이 몇번 있었는데.. 썰을 좀 풀자면.. 1. PC 두개 줌. PC가 각각 내부망용, 외..
blog.low-battery.xyz
그 여파가 하나하나 나타나고 있는데
1. DB 접속
서비스 하나에 db가 4개 이상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로컬에서 상용db연결하려면 터널링으로 포트 4개를 따고
접속 정보를 터널링으로 설정한 포트로 바꿔줘야한다.
그게 git으로 올라가게 되면
다른 개발자들도 영향을 받는다.
에효..
참고로 터널링으로 열어논 ssh는 종종 소리없이 pipe 종료되더라.
2. 상용서버에 파일 upload, download
케이스1) 배포 파일의 경우
git 연동해서 pull로 땡기고 리스타트만 하면 되는 노드쪽은 이슈가 없는것 같다.
로컬 컴파일한 java 프로젝트의 경우는
서버에 컴파일 환경도 git 환경도 없고 지금까지 war, jar 파일을 올려서 서버 리스타트 한것 같다.
케이스2) 단순 이미지나, 텍스트, 바이러니 파일의 경우
예상 해결방법>>
1. s3..
클라이언트가 될 서버들에 cli 다 깔고 설정해야한다는 전제다.
토할것 같다.
2. bastion에 sftp로 임시로 올리고 scp로 서버에 올리기
짜증나....
3. jenkins에서 git으로 소스 pull 땡겨서
maven으로 컴파일해서 올리게 만들기..
이건 안좋은 케이스가..
'로컬에선 잘 되는데 젠킨스에서 컴파일해서 상용에 적용했는데 왠지 안되요!'
그리고 케이스2는 해당 안된다.
욕하고 싶어서 블로그에 쓴다.
bastion 환경 구성한 분께 파일 업로드 어케 하시냐 물었더니
자긴 그 경우가 별로 없다고..
리눅스 써서 scp 쓰신다고.
나만 짜증나.........
'개발새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plify (0) | 2019.04.15 |
---|---|
Women TechMakers Seoul 2019 (0) | 2019.04.13 |
kafka에 대해서 (0) | 2019.04.02 |
mysql - str_to_date (0) | 2019.04.01 |
내부망, 외부망 분리의 기억 (0) | 2019.03.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auth
- 후기
- KAFKA
- AWS
- Node.js
- 코틀린
- 스터디
- 공부
- vue.js
- 이직
- 번역
- mariadb
- JavaScript
- 개발언어
- 개발자
- 카프카
- 마리아DB
- 주식
- 자바
- morningbrew
- 주식초보
- 자바스크립트
- Kotlin
- es6
- openjdk
- Java
- 경제뉴스
- 프로그래밍
- 개발
- Amplif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