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1. 돔(DOM: Document Object Model) - 구조화 된 텍스트 단위 HTML은 DOM을 컨트롤 할수 있다? 가 맞나 자바스크립트는 DOM을 컨트롤 할수 있다? 가 맞나. 체감상 javascript로 DOM을 호출하고 변경 할수 있다. 예~전에 XML을 파싱하는 방법에 두가지가 있다고 배웠다. 하나가 DOM, SAX DOM은 로딩시 문서 모두를 메모리에 올려서 처음 로딩할때 오래 걸리지만 그 이후 빠르다고 알고 있고 SAX는 클릭등, 이벤트 시 하이라키를 그 때 읽는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트리처럼 그 DOM이 이 DOM이네. 요즘의 웹페이지는 내가 저걸 읽던 시절과는 확연히 다른 정보량과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고, 가변적이다! 그래서 가상돔이라는 개념이 나온것 같다. 2. 가상돔을..
최근에 회사 레거시를 보다가 table 태그가 흔하게 쓰이는 화면들을 보고눈살을 찌뿌리게 되었는데 내가 왜 table 태그에 부정적인지 기억을 떠올려보니div로 다 바꿔야한다. 모던웹에서는 쓰지 않는다는 근거없는 기억에 의한것이었다. 그래서 공식문서를 찾아보기로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table table은 예전에 레이아웃을 위한 태그였고 HTML4부터 레이아웃 요소로 쓰는건 안된다고 문서화 되어있다. 내가 해석하기엔 table은 결국 2차원 레이아웃을 그리기 위한 태그였고,현재는 div에 css 파일로 그릴수 있으니 그 의미가 없다는것임.레이아웃으로 쓰려면 속성으로 role="presentation" 를 붙이라고 한다. 실제 비권..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프카
- 코틀린
- 자바
- vue.js
- 주식
- Kotlin
- 번역
- AWS
- 마리아DB
- 자바스크립트
- KAFKA
- 개발언어
- openjdk
- 후기
- 프로그래밍
- 이직
- 개발자
- 공부
- morningbrew
- Node.js
- 경제뉴스
- 주식초보
- Java
- es6
- JavaScript
- mariadb
- 스터디
- 개발
- Amplify
- aut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