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untfile.js를 쓰는데 sprite로 이미지를 최적화해서 css 파일을 만들어 사용중이다. 근데 한번 적용하고 나서 캐시 문제로 브라우저마다 이미지가 깨지는 경우가 있는거다. 가장 좋은 방법을 생각한건 test.png 파일이 sprite 파일이라면 test.png?d=20191231 이렇게 호출에 query string으로 새 파일을 호출해서 강제 반영시키는거다. 현재 sprite는 이미지를 집적해서 test.png를 만들고 test.scss를 만드는것만 되어있다. 옵션 중에 test.png을 만들고 scss에서는 호출만 test.png?d=20191231 이렇게 되게 하는게 안보이는거다. 검색을 열심히 했는데 공식 홈페이지에서 간단한 옵션을 못찾았다. https://www.npmjs.com/p..
회사에 빌드툴이 이렇다.. 어느 프로젝트는 grunt, 어느 프로젝트는 gulp, 새로 짜고 있는건 webpack이라 한다. 이들의 차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어느 것으로 선택하자. 라고 주도하기 좀 그렇다. 그래서 간략 후려치기로 훑어보려고. 그렇다고 사내 빌드툴 레거시를 들어내진 못하겠지만. 물론 이 빌드툴들은 서버쪽이 아닌, front-end 용이다. 훌쩍 검색해 본걸로 보면 webpack이 배우긴 좀 더 복잡한데, 진정한 패키징하는 빌드툴이고, 다른 친구들은 단순하게 task들을 concat해서 병합, 자동화 하는 수준인거 같고. 좀 더 디테일하게 간다면 각각 툴은 나름의 쓰임이 다르다고 한다. 뚜둥 webpack과 다른 툴과는 아주 확연히 다른게 보이는데 gulp, grunt의 차이점은 잘 모르..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jdk
- 코틀린
- mariadb
- auth
- 마리아DB
- 카프카
- es6
- 번역
- 주식
- 경제뉴스
- 후기
- 공부
- Java
- JavaScript
- 이직
- KAFKA
- 프로그래밍
- vue.js
- 개발
- 자바스크립트
- morningbrew
- Node.js
- Amplify
- 스터디
- AWS
- 주식초보
- 개발자
- Kotlin
- 개발언어
- 자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