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보안이 더 강화되었다고 한다. 1. 사이트당 단일쿠키 만 사용 가능 - 원래는 상위 사이트에서 쿠키를 담고 담고 해서 쿠키집합이 개념이 있었나봄. (이건 나도 모르는..) 이제는 한 사이트에 단일 쿠키만 저장 가능하고 원래대로 가능하려면 얘네들이 항상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는 Storage Access API를 사용하라고 함. -> 장점: 간소화, 메모리 공간 확보, 다 플랫폼 지원.... 아예... 2. document.cookie로 생성한 쿠키 지속일자를 7일까지만 3. 타 사이트 팝업이 열릴시 그 팝업에서 클릭을 하던 텍스트를 쓰던 유저가 뭔가 액션을 해야팝업이 원래 페이지의 storage access 접근이 가능함. 4. DNT 제거Do Not Track이라는 사파리 설정체크박스가 있는데그걸 ..
최근에 고생중인거사파리의 크로스사이트 추적방지가 기본옵션인거ITP(Intelligent Tracking Prevention) 2.0인데 사파리의 웹킷 기능이다.A라는 사이트를 방문하고 B 사이트를 방문하면 A사이트에서 방문한 쿠키를 날려버려서A사이트에 로그인한게 날라가는거지.... 아직 못풀고 있다.oAuth 업체들이나 다른데서 어떤식으로 하는지 좀 찾아봐야 한다.https://github.com/google/google-api-javascript-client/issues/342https://www.cso.com.au/article/633776/apple-changes-safari-privacy-feature-breaks-facebook-like-button/ https://github.com/whatw..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언어
- vue.js
- 스터디
- Node.js
- auth
- mariadb
- 자바
- 코틀린
- openjdk
- 주식
- 경제뉴스
- JavaScript
- Amplify
- 마리아DB
- 후기
- 공부
- Java
- 자바스크립트
- 카프카
- morningbrew
- 번역
- es6
- 개발자
- AWS
- 프로그래밍
- KAFKA
- Kotlin
- 주식초보
- 이직
- 개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